미국시장 S&P/미국시장 용어

미국 주식시장 상장 방법에 대한 정리

건우 2021. 2. 22. 02:35

미국 증시에 기업을 상장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기업 공개 Initial Public Offering / 직상장 Direct Listing or Direct Public Offering / 기업인수목적회사를 통한 우회상장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가 방법인데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더보기의 경우 참고 사항이니 넘어가도 무방.

 

기업 공개 Initial Public Offering, IPO

  • 처음으로 Initial 대중에게 Public 해당 기업을 공개/투자 제안 Offering 하는 것
  • 증시에 기업을 상장하는 일반적인 방법
  • 장점 : 기업은 IPO를 통해 새로운 주를 발행(신주발행)함으로써 그만큼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 단점 : 기업 공개를 하는 과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절차가 까다로운 데다 중간에서 자문역할을 하는 투자은행 Investment Bank에게 지불하는 금액이 상당함
더보기

참고사항

* IPO를 진행하는 주관사 역할의 투자은행들을 Book Runner 혹은 Underwriter라고 한다.

* IPO Date이라고 하면 최종 공모가가 결정되고 우선적으로 배당되는 주식 primary shares가 기관투자자 등에게 배분되는 날이다. 고로, 우리가 거래가능한 날짜는 통상적으로 IPO Date 다음 날이며 개장 시간과 무관하게 기업에 따라 거래 가능시간이 다를 수 있다.

* 쿠팡 역시 동일한 과정을 거치는데 개인투자자 청약을 따로 두는 경우가 흔치 않기도 하고 인기가 많았던 IPO(PLTR, SNOW, NKLA...)와 같이 경쟁이 치열하다면 더더욱 개인투자자는 IPO에 참여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직상장 Direct Public Offering(Direct Listing), DPO

  • 기업공개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Direct 대중에게 Public 해당 기업을 공개/투자 제안 Offering 하는 것
  • IPO와의 차이점은 신주발행이 없다는 점이다. 상장 전 기존 투자자들, 임직원 등이 소유하고 있던 지분을 주식으로 교환하는 방법.
  • 장점 : IPO에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아끼면서 주식을 비교적 간편하게 상장할 수 있다.
  • 단점 : 자금 유입은 없다(기존 주주들의 지분 전환). IPO와 같은 절차를 밟지 않는데서 오는 위험 요소가 있다. 예를 들어, IPO의 경우 기관 투자자들의 보호예수기간 lock-up (IPO 때 매수하면 일정기간동안 매도 불가) 등이 한동안의 주가를 보호해주지만 DRO는 이와 같은 안전장치가 없다보니 변동성이 크다.
더보기

참고사항

* 2020년에 상장한 팔란티어(PLTR)의 경우 자체 보호예수기간을 걸어놓은 사례도 있긴 하다.

* 직상장 방법에 대한 영문표기는 Direct Listing, Direct Public Offering, Direct Placement 등 다양하다.

우회상장 through 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 해석하자면 특수한 Special 목적을 가진 Purpose 인수전용 Acquisition 회사 Company
  • Paper Company를 상장시켜놓고 이후에 유망한 비상장기업을 물색하여 합병한다.
  • 스팩 SPAC을 상장시킬 때에는 어떤 섹터/부문을 투자하겠다 정도의 방향성은 제시한다.
  • 장점 : 비상장기업 입장에서는 DRO와 같이 빠르게 증시 상장을 할 수 있고 SPAC 운용사에서는 이로 인한 돈을 벌 수 있다.
  • 단점 : 변동성이 엄청나다. 유망기업과 합병한다는 설이 돌거나 발표가 나면 그 날 주가는 30%~60% 정도 폭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