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일기/투자 기본 개념4

돌아오는 배당의 계절, 배당 받으려면 언제 사야 하나요? (배당락전일, 배당락일, 배당기준일, 배당기산일 정리) 기본 개념과 상황별 예시 : 본격적인 개념 설명 전에 앞으로 설명할 개념은 모두 영업일 기준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즉,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날을 기준으로 배당기준일이다 배당락일이다 등을 따진다는 말. 이 부분은 2021년 달력을 보면서 알아보기로 한다. 예시1) 휴일이 끼어있는 경우; 2021년 3월말 예시2) 주중 휴일이 끼어있는 경우; 2021년 어린이날 예시3) 긴 휴일이 끼어있는 경우; 2021년 추석연휴(9월 23일이 배당기준일이라면) 예시4) 연말배당; 2021년 12월 31일 날짜 개념 0. 배당선언일(Declared Date) : 1주당 배당금을 어떻게 주겠다. 언제를 기준일로 하겠다 등의 내용을 발표하는 날이다. 외국사이트를 보면 'Declared'라는 표시를 볼텐데 이는 예측.. 2021. 3. 26.
채권 금리와 가격의 이해(국채 금리가 상승하는데 가격이 떨어진다는 게 무슨 말인가) 전세계 시장이 지켜보고 있는 지표가 하나 있다. 바로 미 국채 금리인데 요즘 미 국채 금리가 1.5%를 넘어가면서 그 영향으로 미국을 비롯해 전세계의 증시가 충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혼란 속에서 이게 도대체 뭐라고 내 주식 가격을 떨어뜨리는가를 논하기 전에 금리가 올라가는데 채권 가격은 떨어진다는 게 무슨 말인지부터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 우리의 머릿속 우선, 우리가 통상 이해하고 있는 금리와 여기서 논하는 금리는 의미가 다르다. 우리의 머리 속에 들어와 있는 개념은 아래와 같다. 100,000원을 104,040원으로 만드는 방법 중 하나는 적금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금융거래에서 수익률, 금리, 이자율을 떠올리면 금리가 올라가면 이자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늘어나는 게.. 2021. 3. 4.
ETF란 무엇인가? 불안한 한국 증시, 안정적인 ETF로 갈아타자 코스피가 불안불안하다. 조정이다, 하락이다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 차트를 보면 왠지 모르게 고소공포증이 도질 것 같은 추세이다. 연기금은 한국증시 비율조정 및 단기급등의 이유로 인해 강한 매도세로 연일 신문을 장식했고 외국인 역시 이에 질세라 강력한 매도 공세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이를 개인이 어마무시한 양의 매수를 응대를 하면서 코스피는 3,000 시대를 열었고 연초엔 이에 힘입어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급등하였다. 투자에 있어서 스트레스 관리는 필수적이다. 내가 넣어놓은 종목이 떨어지지는 않을까, 오르긴 했는데 언제 매도해야 할까 등등 수많은 고민이 쌓이면 쌓일수록 투자는 오래하기 힘들다. 하루종일 호가창과 차트만 들여다봐야 하니 말이다. 이런 점에서 ETF(Exchange Traded Fund) 투자의.. 2021. 2. 19.
주식에서 오는 스트레스, MDD의 뜻 우측 차트는 테슬라의 2016년부터 2019년까지의 차트이다. 이 소설의 끝을 알고 있는 우리의 입장에서 풀매수를 해야 하는 시점이 맞지만 만약 저 때 테슬라를 가지고 있었다면 안 팔 수 있었을까. 멘탈이 약하면 다 나가떨어졌을 것이다. 이렇듯 급등과 급락이 많으면 그로 인한 피로가 누적되고 이는 장기투자 멘탈관리에 있어 적합하지 않다. MDD = (고점값 - 저점값) / 고점값 특정 기간의 고점에서 저점까지의 낙폭 값을 MDD(Maximum Draw Down), 최대낙폭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상단의 차트에서 고점은 $75, 저점은 $35이므로 MDD = (75-35)/75 = 0.53...이 된다. 흔히들 %로 이 값을 활용하기 때문에 해당 구간에서 MDD는 53%라고 할 수 있다. MDD 값이 클.. 2021.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