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시장 KOSPI/한국시장 분석

찬란한 주가 상승, 삼성SDI와 카카오 [시가총액 변화 분석 Chap 1]

by 건우 2021. 2. 5.

 3,000포인트를 넘어 새로운 시대를 향해가고 있는 코스피의 미래가 기대되는 시점이다. 반도체, 2차 전지, 바이오, 자동차, IT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코스피 TOP 10을 보며 최근 시가총액 순위 변화가 두드러지는 기업들에는 어떤 곳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어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엑셀을 활용하여 시가총액 5년 데이터를 분석해보았다. 개별기업에 대한 분석보다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에 초점을 맞춰 기록해놓고자 한다.

 

1. 삼성SDI (006400)

 

21년 1월 1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의 5년 순위 변화

 17년 시가총액 40위에서 해마다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LG화학, SK이노베이션과 동일하게 전기차 산업의 부흥으로 인한 수혜를 누리고 있으며 매출액 비중은 20년 4분기 기준으로 에너지 및 기타 26,292억 원, 전자재료 6,222억 원으로 에너지(전지 관련) 비중이 크다. 주목할 점은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 장치)였는데 ESS는 전기차뿐 아니라 태양광, 풍력에도 사용되며 최근에는 테슬라에 납품 소식도 들려오며 주가는 고공행진 중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기조와 전기차 시대의 도입부에서 ESS 매출 규모 확대가 기대되고 소형전지에 있어서 이어폰 향 원형전지 수요 역시 견조할 것이라 생각한다. 전자재료 부문의 OLED(핸드폰), 편광필름(LCD TV)은 전분기 대비 매출 감소가 있었으나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동일 부문의 반도체 소재는 최근 DRAM 수요 증가 기대로 파운드리 관련주가 뛰었던 것에서 알 수 있듯 웨이퍼 관련 매출 증가가 기대된다.

 

※참고로 할 점은 최근 삼성과 현대의 협력으로 이슈가 되었는데 여기서 등장하는 삼성디스플레이는 비상장사이며 지분구조로 보면 삼성전자가 80%이상을 소유하고 나머지를 삼성SDI가 소유하고 있는 구조이므로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2. 카카오 (035720)

 

21년 1월 1일 기준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의 5년 순위 변화

 2020년 초중반 한국 증시에 있어 가장 두드러지는 상승세를 탔던 종목이라 할 수 있겠다. 극적인 상승세를 보여주며 네이버와 양강 구도를 이루고 있는 IT기업 카카오매출비중은 20년 3분기 기준 플랫폼 14,889억 원, 컨텐츠 14,327억 원으로 매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출처 : 카카오 3Q 실적발표 자료

 세부사업에서 성장성이 큰 부문은 톡비즈, 신사업, 게임, 유료 컨텐츠 부문이다. 톡비즈 사업의 경우 꾸준한 카카오톡 사용자 증가세와 선물하기 기능의 인기 등으로 광고 수익이 증가 추세이다. 신사업에서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택시 등의 인기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얼마 전 IPO를 진행한 카카오게임의 경우에도 PC의 경우 제자리를 맴돌고 있지만 모바일 게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매출 상승에 도움이 되고 있다. 필자가 가장 주목하는 사업은 IP(Intellectural Propery, 지적재산권) 사업과 유료 컨텐츠 사업이다.

 

 최근 네이버 웹툰 원작을 기반으로 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스위트홈의 흥행에서 볼 수 있듯 웹툰의 영화화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성공하고 있다. 이에 따른 IP사업이 주목받고 있는 환경에서 카카오의 자회사 카카오재팬이 운영하는 일본의 만화 플랫폼 픽코마는 현재 일본 내 매출 1위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거래액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이에 따를 IP 사업의 수혜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2021년 1월 1일 시가총액 순위 TOP10 기업 중 가장 확연한 변화를 보여준 삼성SDI와 카카오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11위권 이하 기업들을 살펴보며 2022년에 TOP10에 들 기업들을 물색하는 과정을 거쳐보려고 한다. 오늘은 여기까지.

댓글